동충하초 책/한국동충하초(총론)

한국의 동충하초 용어 해설

성재모동충하초 2010. 11. 4. 14:45

?부록

동충하초 용어 해설

 

가근(仮根, rhizoid) : 특정 조류(藻類) 등에서 엽상체(葉狀體)의 한부분을 이루는 단세포 또는 다세포성 뿌리를 닮은 구조. 가근은 기질에 부착, 또는 물질의 흡수 기관으로서 역할을 한다.

감자 한천 배지(potato dextrose agar) : 감자 200g을 물 1L에 넣어 끓인 물에 설탕 18g과 한천 18g을 첨가하여 만든 균의 증식 배양용 배지.

격막(隔膜, septum) : 균류에서 균사의 내부에 있는 가로막으로, 고등 균류의 특징이기도 하다.

곤충 기생균(昆蟲寄生菌, entomopathogenic fungi) : 곤충에 병원성을 가지는 균으로, 대개의 경우 기주를 치사에 이르게 한다.

공생 관계(共生關係, symbiotic relationship) : 두 개의 서로 다른 유기체가 밀접한 물리적 연관성을 갖으며 함께 살아가는 것으로, 대개의 경우 공생하는 것이 서로에게 이익이 된다.

균사(菌絲, hypha) : 균류의 영양 생장 기관으로, 가늘고 긴 실모양의 기관.

균핵(菌核, sclerotium) : 균사 상호간에 엉키고 밀착되어 있는 균사 조직으로, 불리한 환경에서도 저항성을 갖는 일종의 휴면 기관.

기주 특이성(寄主特異性, host specificity) : 주어진 기생균이 제한된 기주에만 전염성 또는 병원성을 가지는 것.

난균강(卵菌綱, oomycetes) : 균류의 한 분류군으로서, 편모가 있어 운동성을 가지는 유주자를 생산하는 것이 특징임.

난포자(卵胞子, oospore) : 난균강의 균류에서 장난기와 장정기 두 배우자의 접합에 의하여 형성된 유성포자로, 두터운 벽을 가지고 있다.

다핵 균사(多核菌絲, coenocytic hypha) : 균사에 격막이 없어 다수의 핵들이 세포질 속에 그대로 존재하는 균사.

담자균강(擔子菌綱, basidiomycetes) : 고등 균류 중 완전 세대를 거친 담자포자를 담자기에 형성하는 균의 총칭.

머리(fertile part) : 동충하초의 자실체 중 자낭각이 분포하는 상단 부분.

면역 글로불린(immunoglobulin) : 면역 작용에 관계하는 단백질.

무성생식(無性生殖, asexual reproduction) : 핵융합과 감수 분열이 관련되지 않은 생식.

물 한천 배지(water agar) : 물 1L에 한천 18g을 넣어 만든 균 분리용 배지.

발아관(發芽管, germ tube) : 짧은 균사와 같은 구조로 많은 종류의 포자가 발아시 형성됨.

배우자(配偶者, gamete) : 단상(haploid)의 생식세포로, 유성생식 때 융합되어 수정이 일어난다.

병자각(柄子慤, pycnidium) : 보통 구형이거나 플라스크 모양으로 속이 비어 있는 구조를 하고 있으며, 비어 있는 내부에서 분생포자를 생산한다.

부속사(附屬絲, appendage) : 동충하초의 자실체 중 자낭각이 분포하는 부위가 중앙에 존재할때, 그 위의 불임성 정단부를 일컫음.

부착세포(附着細胞, appressorium) : 평평한 균사 조직으로, 작은 감염 기관이 기주의 표피세포 위에서 자라, 이를 뚫고 들어가는 기관.

분생자병속(分生子柄束, synnema) : 분생자 자루가 다발로 뭉쳐져 신장된 포자 형성 구조를 만든 것.

분생포자(分生胞子, conidium) : 운동성이 없는 무성생식 포자로, 보통 분생자 자루 위에 형성된다.

분생포자 형성 세포(分生胞子形成細胞, conidiogenous cell) : 분생자 자루 위에서 발달하여 분생포자를 형성하는 세포.

불완전균(不完全菌, imperfect fungi) : 생식 수단으로서 분생포자와 같은 무성생식만을 하는 균류.

섬유질(纖維質, fibrous) : 자실체를 형성하는 가늘고 긴 실 모양의 조직.

소병포자(phialoconidia) : 작은 자루로부터 형성된 포자.

연골질(軟骨質, cartilaginous) : 대의 조직이 단단하여 부러질 때 딱소리가 나는 조직.

엽상체(葉狀體, thallus) : 식물에서는 줄기, 뿌리, 잎의 구분이 없는, 비교적 간단한 식물체를 일컫는데, 균류에서의 엽상체는 영양 기간 동안의 형태를 나타낸다.

위유조직(僞柔組織, pseudoparenchyma) : 균사 조직의 일종으로, 구성 균사들은 그들의 개별성을 잃어버린 조직.

유구(有口, ostiole) : 자낭과에서 목과 같은 구조로 말단부에는 구멍이 있다.

유성생식(有性生殖, sexual reproduction) : 배우자 간의 접합에 의하여 생식을 하는 것으로, 핵융합과 감수 분열이 일어난다.

2차 기생(二次寄生, second parasitism) : 성숙한 자실체 위에 다른 균이 침입하여 기생하는 것.

2차 포자(二次胞子, second spore) : 자낭포자의 격막 부분이 분열하여 각각이 개별적인 포자의 역할을 하는 것.

인 비트로(in vitro) : 실내 실험.

자낭(子囊, ascus) : 자낭균류의 특징으로, 보통 핵융합과 감수 분열을 거쳐 형성되는 일정한 숫자의 자낭포자(보통 8개)를 포함하는 주머니 모양의 세포.

자낭각(子囊殼, perithecium) : 정단부에 유구를 가지고 있으며, 자체의 벽을 가지고 있는 자낭과.

자낭균강(子囊菌鋼, ascomycetes) : 유성생식 포자로서, 일정한 숫자의 자낭포자를 자낭 내에 형성하는 균류.

자낭포자(子囊胞子, ascospore) : 감수 분열에 의하여 자낭 내에 형성되는 자낭균류의 유성생식 포자.

자루(柄, stipe) : 자실체의 줄기에 해당하는 부위로, 머리를 받쳐 지탱해 주는 부분.

자실체(子實體, fruiting body) : 버섯을 일컫는 말로, 포자를 포함하고 있거나 포자를 생산하는 복합적인 균의 구조물.

자실층사(子實層絲, trama) : 버섯의 자실층 내부 균사층.

자웅이주(雌雄異株, heterothallic) : 유성생식을 위해서는 서로 다른 엽상체 위에 존재하는 화합성이 있는 배우자가 필요한 것.

자좌(子座, stroma) : 자낭각이 배열된 곤봉 모양, 또는 반구형의 머리와 이를 지탱하는 자루(柄)를 일컬음.

작은 자루(小柄, phialide) : 분생포자 형성 세포의 한 형태로, 출아성 분생포자를 생산한다.

접합균강(接合菌綱, zygomycetes) : 다핵균사를 가지고 있으며, 세포벽은 키틴 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무성생식은 포자낭 또는 분생포자를 형성하며, 유성생식은 유사한 형태의 배우자 간 접합에 의하여 접합포자를 생산하는 균류.

접합포자(接合胞子, zygospore) : 접합균강에서 2개의 배우자 간 융합에 의하여 형성된 휴면포자.

정단 고리(頂端-, apical ring) : 자낭의 정단부에 존재하는 작은 점.

출아세포 (出芽細胞, blastic cell) : 무성생식 세포의 일종으로 효모류에서 발견되는데, 출아법에 의하여 세포가 증식되는 것.

포자(胞子, spore) : 균류에서 종자의 역할을 하는 작은 번식 단위.

포자낭(胞子囊, sporangium) : 주머니와 같은 구조로, 내부 원형질 성분 전부가 다수의 포자로 전환된다.

후막포자(厚膜胞子, chlamydospore) : 휴면포자로서의 기능을 하는, 두꺼운 벽을 가진 포자.

휴면포자(休眠胞子, resting spore) : 장기간의 휴면 기간을 거쳐 발아하는, 두꺼운 벽을 가진 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