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충하초 활동/동충하초채집(방문국) 59

일본 동충하초 국제무척추동물병리학회(1998.8.23-8.28)

본학회에 참석하는 동안 본인이 특히 관심이 있는 "Biology and ultilization of the entomogenous fungal genus Cordyceps" 에 참석하여 “Collections and Cultures of Korean Cordyceps”를 발표하였고 한국에서도 관심이 있는 미생물 해충방제에 기초자료가 될만한 정보를 얻었으며 특히 Cordyceps가 의약품과 건강식품으로 이용 될 ..

인도네시아 Udayana 대학을 방문(2001.1.9-18)

인도네시아 Udayana 대학을 방문하여 인도네시아 Udayana 대학의 식물보호학과를 방문하여 고등균류에 대한 공동연구를 추진할 계획을 협의하였으며 그곳에 머무는 동안 한국에서 발견 할 수 없는 흰개미버섯(Termitomyces sp.)등 10개 균주외 표본을 채집하였다. 앞으로 동충하초가 풍부한 인도네시아 Udayana ..

영국 미생물 살충제 국제 회의(1997.4.14-4.18)

본학회를 참가한 연구자는 32개국 250명이 참가하여 미생물 살충제 개발이 novelty or necessity ?라는 제목으로 열렸다. 본회의는 4개의 Session으로 나누어저 진행되었다. 제1회의에서는 microbial biopesticide등 4개의 논문이 발표되어 미생물 살충제의 종합적 방제와 화학적방제와의 관계, biopesticide로써 그들의 ..

동충하초 채집을 위한 베트남 방문(2006. 6. 15.- 6. 21)

과학기술 국제화서업 과제인 베트남지역의 생물다양성 탐색 및 유용생물자원 개발 연구 과제 수행에서 베트남에서 관계관을 만나 연구 협의를 하고 동충하초와 유용고등균류의 채집과 균주 수집을 위한 방문을 하였다. 베트남에 머물면서 관계자를 만나므로 동충하초에 대한 양국간의 연구를 활성..

동충하초 채집을 위한 베트남 방문(2005. 2. 24-3.1)

과학기술 국제화서업 과제인 베트남지역의 생물다양성 탐색 및 유용생물자원 개발 연구 과제 수행에서 베트남에서 관계관을 만나 연구 협의를 하고 동충하초와 유용고등균류의 채집과 균주 수집을 위한 방문하였다 베트남에 머물면서 관계자를 만나므로 동충하초에 대한 양국간의 연구를 활성화 시..

동충하초 채집을 위한 베트남 방문(2004. 6. 21-6.27)

6월 21일부터 6월 27일까지 베트남의 국립식물보호연구소를 방문하여 곤충과장인 Vuong박사를 만나 동충하초에 대한 공동 연구 협의를 하고 한국의 동충하초에 세미나를 하였다. Tamdao 국립공원에 가서 동충하초를 채집하였으나 날씨가 너무 더운 관계로 백강균 5균주를 확보하였다. 국립식물보호연구소..

동충하초 발표를 위한 미국 방문(2000. 7. 29-8.3)

미국 균학회가 주관하여 미국 벌링톤 Vermont 대학에서 개최하는 미국 균학회는 전세계적인 학회로 진균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이 500명 이상 모이는 학회로 균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 결과를 발표하는 학회이다. 본 학회를 참석하여 현재 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는 과정을 알 수 있었고 여러 과학자들을 ..

동충하초 연구를 위한 미국 방문(2000. 12. 9-12.26)

곤충기생균 형태적 분류동정과 생활사 연구를 한국과학재단의 국제공동연구로 수행하고 있다. 그러므로 오레곤 주립대학을 방문하여 식물병리학과 Spatafora박사를 만나 동충하초의 형태적 분류와 분자생물학적인 분류에 대한 차이점을 비교하면서 앞으로 형태와 분자생물학적인 같고 다른 점을 비교..

뽕나무버섯 미국학회발표(1992.8.14-8.26)

미국식물병리학회가 주관하여 포트랜드에서 1992년 8월 8일부터 1992년 8월 12일까지 개최하는 학회는 미국 뿐만아니라 전세계적인 균과 식물병에 관련된 과학자들이 3,000명이상 모이는 학회로 균에 대한 모든 문제를 협의하고 발표하는 학회이다. 회의주관기관은 The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이며 규모..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연구를 위한 미국 방문(1998.1.20-2.17)

이번 방문 연구를 통하여 본인이 수행하고자 한 것은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었는데 하나는 한국에서 문제되는 상황버섯을 형태적으로 정확히 분류동정하고 또한 상황버섯균주에서 DNA를 분리하여 염기서열을 밝혀 Phellinus linteus에 대한 specific primer를 찾는 일이며 또 하나는 한국에서 채집된 동충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