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충하초, 우리나라에 가장 많이 자생
“동충하초의 채집과 연구를 위해 중국, 일본, 태국, 베트남, 네팔, 티벳, 라오스 등 수많은 나라를 돌아다녔다. 하루 종일 산속의 땅 바닥만 뒤지고 다녔다. 그러나 단 하나의 동충하초도 채집 못하는 경우가 부지기 수다”
성박사가 설명하는 동충하초의 채집 과정이다. 동충하초의 채집과 보관은 어떻게 할까?“채집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마음의 준비다. 지속적인 끈기와 인내심이 없으면 불가능하다”라고 성 박사는 말하면서“동충하초는 우리나라에 가장 많이 자생한다. 대개 낮은 지대의 활엽수림대로 곤충이 많이 살고 있는 지역과 습도가 높은 계곡지대, 물줄기가 서로 만나는 지역이나 비교적 잡초가 적고 낙엽이 쌓인 지역에서 자연 상태의 동충하초는 6~8월까지 발생한다. 비가 온 후 2~3일이 동충하초의 발생 적기다. 동충하초는 균주에 따라 다른 생리활성이 특징이다. 같은 번데기동충하초라도 제주도에서 채집한 것과 설악산에서 채집한 것이다르다”고 이야기한다.
아울러“이렇게 채취 작업이 끝난 동충하초는 자실체의 형태적인 특징의 기록과 슬라이드 제작을 한 후균주(菌株)를 분리한다. 그 다음에 액침표본이나 건조표본으로 제작된다”고 성박사는 덧붙인다. 동충하초의 배양이 궁금하다는 기자 질문에 성 박사는“동충하초는 자연계에서 발생하는 자실체의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인공 배양을 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매우 어렵다. 동충하초균을 배양하려면 준비실과 무균실, 배양실이구비되어야 한다”고 성박사는 설명한다.
또한 성박사는 자실체 형성에 대해 이렇게 이야기한다. “자연상태에서 채취한 동충하초로부터 균주를 이
용해 실험실에서 자실체를 형성하는 방법은 현미를 이용하거나, 누에를 이용한 동총하초의 인공생
산방법이있다”
상 : 성재모동충하초, 매미에서 형성된 매미긴자루동충하초
하. 유충에서 형성된 부들동충하초, 유충에서 형성된 동충하초
'사는 이야기 > 보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사뉴스저널 6월호 84쪽 (주)머쉬텍(MUSHTECH) 동충하초연구소장 성재모박사 (0) | 2011.05.30 |
---|---|
시사뉴스저널 6월호 85쪽-1 머쉬텍 창업 (0) | 2011.05.30 |
시사뉴스저널 6월호 86쪽 성재모 동충하초’, ‘품종보호권등록’통과 (0) | 2011.05.30 |
시사뉴스저널 6월호 87쪽 ‘노랑다발 동충하초’로‘아토피 크림’상품화 (0) | 2011.05.30 |
시사뉴스저널 6월호 88쪽 동충하초는 나를 깨우치고 이끌어준 스승이다 (0) | 2011.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