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충하초 생리활성/붉은자루동충하초 54

붉은자루동충하초의 항염물질의 생리활성확인(4)

마. CPME의 NF-κB활성저해효과 NFκB 활성은 LPS에 의해서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발현되는 iNOS, COX-2 그리고 여러 cytokine의 발현에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 이에 앞에서 실험한 결과 iNOS, COX-2 그리고 cytokine의 발현을 CPME가 억제하였기에 EMSA방법을 통해서 LPS에 의해서 활성화된 NFκB 활성을 측정한 결..

붉은자루동충하초의 항염물질의 생리활성확인(3)

라. CPME의 primary peritoneal macrophge에서의 iNOS COX-2저해효과 cell line인 Raw 264.7에서는 iNOS와 COX-2의 발현을 억제하였기에 primary cell culture를 통한 세포에서도 같은 결과가 형성되는지를 알아본 결과 LPS에의해서 유도된 iNOS. COX-2의 발현을 CPME가 억제시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Fig 24). Fig. 24. Effects of the CPME on i..

붉은자루동충하초의 항염물질의 생리활성확인(2)

다. 붉은자루동충하초의 메탄올 추출물의 TNF-α와 IL-1β생성에 대한 효과 anti-inflammatory cytikine의 생성에 있어서의 CPME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대식세포에 LPS로 활성화 시킨 후에 여러 가지 농도의 CPME를 친 후에 세포배양액을 ELISA kit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anti-inflammatory cytokine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붉은자루동충하초의 항염물질의 생리활성확인(1)

나. 붉은자루동충하초의 메탄올 추출물의 PGE2 및 COX-2 단백질 발현억제효과 PGE2는 활성화 된 대식세포의 pro-inflammation enzyme인 cyclooxygenase에 의해서 생성되어지는 이때 대식세포를 LPS로 활성화시킨 후에 세포배양에서 PGE2양을 kit로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CPME의 농도에 따라서 감소하는 것을 알 수가 있었..

붉은자루동충하초추출물 및 분획물의 정상세포에 대한 영향

붉은자루동충하초추출물 및 분획물의 정상세포에 대한 영향. Normal cell에 대한 붉은자루동충하초 추출물 및 분획물의 영향은 없었다. CHO K1 (Fig.19) - 정상 cell인 CHO K1에서는 48hr, 72hr incubation시에 전혀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 NIH3T3 (Fig.20) - 정상 cell인 NIH3T3에서도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 Normal cell인 CHO, NIH3T..

MTT Assay에 의한 붉은자루동충하초 추출물의 항암효과

MTT Assay에 의한 붉은자루동충하초 추출물의 항암효과 cancer cell과 normal cell에 붉은자루동충하초의 분획물을 첨가한 후 48hr, 72hr incubation 후 cell의 항암효과는 다음과 같다.Cancer cell인 B16F10, HeLa, SKOV3, Du145, SKBR3 cell line은 위와 같은 농도로 48hr, 72hr incubation후 MTT assay해 본 결과, SKBR3를 제외한(Fig.18) 모든 cell..

MTT Assay에 의한 붉은자루동충하초 추출물의 항암효과

MTT Assay에 의한 붉은자루동충하초 추출물의 항암효과 cancer cell과 normal cell에 붉은자루동충하초의 분획물을 첨가한 후 48hr, 72hr incubation 후 cell의 항암효과는 다음과 같다.Cancer cell인 B16F10, HeLa, SKOV3, Du145, SKBR3 cell line은 위와 같은 농도로 48hr, 72hr incubation후 MTT assay해 본 결과, SKBR3를 제외한(Fig.18) 모든 cell..

붉은자루동충하초 급성독성실험

5. 급성독성실험 붉은자루동충하초의 여러 분획물이 어떠한 독성을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동물(흰쥐)을 이용하여, Bahren's Karber법에 의해 실험하여 독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2.0g/kg, 4.0g/kg 및 시료 최대 투여용량인 6.0g/kg/을 투여한후 72시간 관찰하였으나 사망하거나 이상증상을 보이는 ..

붉은자루동충하초 대한 여러 분획 추출물의 동맥경화 억제 활성 비교

(2) Agarose gel electrophoresis을 이용한 LDL의 mobility 변화 산화된 LDL(oxidized-LDL)은 agarose gel electrophoresis상에서 mobility의 차이를 갖는다, 이러한 mobility의 변화는 LDL이 산화되면서 apoB-100의 charge가 positive한 쪽에서 negative한 쪽으로 charge가 변하기 때문이다( 산화된 LDL은 lysine 잔기의 + charge가 줄어들면서 negative 한..

붉은자루동충하초에 대한 여러 분획 추출물의 동맥경화 억제 활성 비교

여러 분획 추출물의 동맥경화 억제 활성 비교 (1) LDL 산화 억제 실험: LDL은 동맥경화의 risk factor(위험인자)로 알려지고 있으며, 인체의 혈중에 LDL이 높으면 직결적으로 동맥경화 발생과 비례한다고 알려지고 있다. 동맥경화의 발병기작은 현재 확실히 규명되어 있지는 않지만, 초기에 혈액중의 LDL이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