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버섯의 Electrophoretic mobility에 미치는 영향 Electrophoretic mobility에 미치는 영향 LDL에 CuSO4를 가하여 4시간 동안 산화시킨 후 agarose gel상에서 mobility를 관찰한 결과 그 mobility가 증가하였다. 그것은 산화에 의해 LDL의 surface negative charge가 증가되었음을 의미하며 이는 LDL중 apoprotein B의 lysine잔기의 derivatization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105) LDL에 자연산 .. 상황버섯/상황버섯생리활성 2010.04.03
상황버섯 TBARS assay를 이용한 LDL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TBARS assay를 이용한 LDL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LDL oxidative modification은 lipid peroxide의 증가에 의해 평가될 수 있으며 본 실험에서는 지질의 산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 중에서 가장 간단한 방법인 MDA를 표준시료로 하는 TBARS assay74)를 실시한 결과와 지질과산화를 50% 억제하는데 필요한 시료농도(IC50)을 .. 상황버섯/상황버섯생리활성 2010.04.03
상황버섯의 LDL 산화에 미치는 영향 LDL 산화에 미치는 영향 활성산소와 과산화지질은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암, 간장질환, 그리고 노화의 주된 원인으로 인식되어져 왔으며 특히 저밀도지단백(low density lipoprotein, LDL)의 oxidative modification은 죽상동맥경화증의 주된 과정으로 알려졌다.66,96) 지질 대사과정에서 정상적인 LDL입자는 endo.. 상황버섯/상황버섯생리활성 2010.04.03
상황버섯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DPPH를 이용한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인간을 포함한 모든 호기성 생물체는 산소를 이용하여 에너지 대사를 진행하며 그 과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활성산소의 상해에 대하여 생체는 자기방어기구(scavenger system)를 구비하고 있지만 조직의 방어능을 초월한 활성산소의 생성은 최근 성인병이라 불리.. 상황버섯/상황버섯생리활성 2010.04.03
상황버섯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상황버섯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인간을 포함한 모든 호기성 생물체는 산소를 이용하여 에너지 대사를 진행하며 그 과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활성산소의 상해에 대하여 생체는 자기방어기구(scavenger system)를 구비하고 있지만 조직의 방어능을 초월한 활성산소의 생성은 최근 성인.. 상황버섯/상황버섯생리활성 2010.04.03
상황버섯의 항암 및 항염증 생리활성물질의 정제 항암 및 항염증 생리활성물질의 정제 목질진흙버섯 메탄올 추출물을 다시 극성의 차이에 의해서 분획을 하여 항산화 및 항암효과로 생리활성을 비교하였을 경우 Butanol fraction이 가장 좋은 효과를 보였기 때문에 이 분획물을 정제하기 위해서 silica chromatography를 1차 정제를 하였다. 이때 얻어진 fraction.. 상황버섯/상황버섯생리활성 2010.04.03
상황버섯의 항염증 효과 목질진흙버섯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LPS 및 IFNγ를 목질진흙버섯 분획물과 함께 처리하였을 때 감소되는 염증인자(NO)를 측정하였다. 또한 좀 더 확실한 결과를 얻기 위해 활성이 강한 분획 및 단일물질에 한해 NO생성효소인 iNOS, PGE2생성효소인 COX-2의 발현양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 상황버섯/상황버섯생리활성 2010.04.03
상황버섯의 항염증효과 목질진흙버섯의 항염증효과 일반적으로 외부감염 상황에서 LPS 및 여러 가지 면역 유발 물질에 의해 대식세포의 활성화가 진행되게 된다. 이때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prostaglandin, NO 및 cytokine을 통하여 1차적인 면역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1차적인 면역작용은 외부 항원에만 영향을 주는.. 상황버섯/상황버섯생리활성 2010.04.03
상황버섯의 분획물에 대한 항암효과 PH-1번 목질진흙버섯의 분획물에 대한 항암효과를 실험한 결과 Butanol Fraction이 가장 좋은 효과를 보였다. 이에 항암물질의 정제작업에는 Butanol분획물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컬럼을 이용하여 생리활성 물질을 정제하였다. DU145(proatate carcinoma) Hela(certex carcinoma, cervix) SK-OV3(adenocarcinoma) A549(lung carcinoma) Antcan.. 상황버섯/상황버섯생리활성 2010.04.03
상황버섯의 항암 효과 목질진흙버섯의 항암효과 목질진흙버섯의 분획이나. 정제된 물질을 DMSO 에 녹여, DMEM이나 RPMI1640 medium으로 희석하여 최종농도가 5, 10, 50, 100, 200ug/ml이 되게 만든다. 세포의 증식억제 실험을 하기 위해 부착성 세포주 및 비부착성 세포주일 96-well plate에 1×104 cells/well 이 되도록 배양한다. 1일 후, 0.5% mediu.. 상황버섯/상황버섯생리활성 2010.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