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버섯의 특징 버섯 1. 버섯 버섯을 만드는 버섯균과 나무는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어 나무가 있는 숲에는 어디에나 버섯이 나온다. 특히 죽은 나무에서 버섯이 많이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쉽게 버섯균이 침입하여 그 속에서 영양을 받아 자라 버섯 나무로 바꾸어 진 후 버섯이 나온다. 그러므로 버섯균이 들어가면 나무에 .. 일반 버섯/강원의 버섯 2010.08.09
1-6. 그 밖의 특이한 버섯 6. 그 밖의 특이한 버섯 덩이버섯(Tuber)은 자낭균문 반균강에 속하는 버섯으로 땅속에 자실층을 만들므로 이것은 땅속에 있기 때문에 자실층에 구멍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자낭포자는 자실체가 썩거나 자실체에서 나오는 냄새와 향기를 맡은 동물에 붙어 다른 곳으로 퍼지어나간다. 이 버섯은 반균강.. 일반 버섯/강원의 버섯 2010.08.08
1-2-3. 독버섯(3) 먹는 버섯과 유사한 독이 있는 버섯 독이 있는 버섯에 의한 중독사고는 거의 다 식용으로 사용하는 버섯과 비슷하여 독이 있는 버섯으로 잘 못 알기 때문에 일어난다. 색깔, 모양, 발생하는 곳이 식용하는 버섯과 같아 흔히 혼동되기 쉬운 독이 있는 버섯은 다음과 같이 10여종이다. 독버섯 식용버섯 독.. 일반 버섯/강원의 버섯 2010.08.01
1-2-3 독버섯(2) isoxazol 유도체(ibotenic acid, muscinol, muscazone)와 indole 유도체(psiocybin, psilocin)는 주로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중독증상은 먹은 후 20분∼2시간 후에 나타난다. muscinol은 먹을 후 20분∼30분 후에 나타나며 잠시 위장이 울렁거리고 술에 취한 것 같으며 근육에 경련이 일러나고, 정신이 없으며, 환각 작용을 일으.. 일반 버섯/강원의 버섯 2010.08.01
1-2-5 독버섯(1) 독버섯에 의한 중독을 내는 증상은 독의 성분에 따라 다르며 독의 성분과 성질과 증상이 나타나는 시간에 따라 보통 5개형으로 나눌 수 있다. amatoxin, phallotoxin, gyromitrin, monomethyl hydrazine등은 먹은 후에 독버섯의 독의 성분에 따라 중독이 되는 증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사람의 세포의 기능을 잃게 .. 일반 버섯/강원의 버섯 2010.08.01
1-2-5 독버섯 5) 독버섯 자연적으로 나고 있는 버섯가운데 먹을 수 있는 버섯이 1,000종인데 비하여 독이 있는 버섯은 50 여종으로 그 가운데서 생명에 관계되는 독한 성질이 강한 것은 20 여종에 지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야생버섯이라면 독버섯을 생각 할 만큼 독버섯이 사람들의 두려움이 되기 때문이다. .. 일반 버섯/강원의 버섯 2010.08.01
1-2-4 관상용버섯 4) 관상용 버섯 영지는 그의 뛰어난 모양 때문에 옛날부터 표면을 꾸미는데 쓸모 있게 쓰여 왔다. 요사이는 사람들이 자유롭게 재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모양, 색, 크기, 광택이 더욱 좋아졌으며 이에 색깔을 넣을 수 있어 보고 즐기는데 쓰는 물건으로 관상용으로 쓰여지고 있다. 서양에서는 광대.. 일반 버섯/강원의 버섯 2010.08.01
1-2-3 조미료로서의 버섯 3) 조미료로서의 버섯 표고버섯(Lentinus edodes)은 예로부터 조미료로서 사용되어 왔는데 맛을 내는 본체가 5-구아닌산나트림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현재는 이 방법이 특허로 되어 많이 생산하는 단계에 있다. 화학조미료로서 글루타민산, 이노신산과 함께 일반가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표고버섯.. 일반 버섯/강원의 버섯 2010.08.01
1-2-2-5 그 외 약용으로 알려진 버섯 (5) 그 외 약용으로 알려진 버섯 복령(Wolfiporia cocos (Schw.) Rhv. et Gilbn)의 균핵은 한방에서 제일 많이 쓰고 있는 복령은 옛날에는 소나무의 정기가 뭉쳐진 것이라 생각하였는데 사실은 밖에서 사는 복령이 소나무에 들어가 소나무의 양분을 받아 뿌리에 생긴 균핵이다. 뿌리주위에서 만들어 진 것을 복신이.. 일반 버섯/강원의 버섯 2010.08.01
1-2-2-4 표고 (4) 표고(Lentinus edodes Sing.) 표고는 먹는 버섯인 동시에 아주 좋은 약으로 쓰는 효과가 있다. 생 표고에서 뜨거운 물로 뽑아낸 엑기스가 생쥐의 살가죽의 밑에 주사하여 Sarcoma-180의 종양을 억누르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성분은 다당류로써 표고버섯의 학명에 따라 렌티난(Lentinan)이라 이름지.. 일반 버섯/강원의 버섯 2010.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