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조미료로서의 버섯 3) 조미료로서의 버섯 표고버섯(Lentinus edodes)은 예로부터 조미료로서 사용되어 왔는데 맛을 내는 본체가 5-구아닌산나트림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현재는 이 방법이 특허로 되어 많이 생산하는 단계에 있다. 화학조미료로서 글루타민산, 이노신산과 함께 일반가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표고버섯.. 일반 버섯/강원의 버섯 2010.08.01
1-2-2-5 그 외 약용으로 알려진 버섯 (5) 그 외 약용으로 알려진 버섯 복령(Wolfiporia cocos (Schw.) Rhv. et Gilbn)의 균핵은 한방에서 제일 많이 쓰고 있는 복령은 옛날에는 소나무의 정기가 뭉쳐진 것이라 생각하였는데 사실은 밖에서 사는 복령이 소나무에 들어가 소나무의 양분을 받아 뿌리에 생긴 균핵이다. 뿌리주위에서 만들어 진 것을 복신이.. 일반 버섯/강원의 버섯 2010.08.01
1-2-2-4 표고 (4) 표고(Lentinus edodes Sing.) 표고는 먹는 버섯인 동시에 아주 좋은 약으로 쓰는 효과가 있다. 생 표고에서 뜨거운 물로 뽑아낸 엑기스가 생쥐의 살가죽의 밑에 주사하여 Sarcoma-180의 종양을 억누르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성분은 다당류로써 표고버섯의 학명에 따라 렌티난(Lentinan)이라 이름지.. 일반 버섯/강원의 버섯 2010.08.01
1-2-2-3 목질진흙버섯 (3) 목질진흙버섯(Phellinus linteus) 상황버섯은 뽕나무의 그루터기에서 형성되는 노란색의 버섯으로 처음에는 노란 진흙덩이가 뭉친 것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다가 다 자란 후의 모습은 나무 그루터기에 혓바닥을 내민 모습이���. 혓바닥 같은 형태의 위부분에 감나무의 껍질과 같이 검게 갈라진 모습 .. 일반 버섯/강원의 버섯 2010.07.29
1-2-2-2(1) 동충하초속 노랑다발동충하초(C. bassiana)의 무성세대는 백강균(Beauveria bassiana)으로 누에에 기생하는 동충하초는 67.44%의 단백질과 4.38%의 지방과 항생물질인 오스포린[oosporin(C12H10O8)]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이들 물질은 예로부터 어린이들의 경련, 간질, 뇌졸증, 마비된 목의 치료에 이용되어 왔으며 가래를 삭이.. 일반 버섯/강원의 버섯 2010.07.29
1-2-2-2 동충하초 (2) 동충하초(Cordyceps) 동충하초에 속하는 버섯은 많은 종류의 버섯이 있는데 중국에서 잘 알려진 박쥐나방동충하초(Ophiocordyceps sinensis)로 해발 3000∼6000m의 높은 고장에서 살고 있고 박쥐나방에서 기생하여 형성하는 버섯이다. 한국에서는 가장 많이 자생하는 동충하초는 번데기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일반 버섯/강원의 버섯 2010.07.29
1-2-2 약용 버섯 2) 약용 버섯 사람과 버섯의 두 번째의 관계는 사람의 몸에 병이 들었을 때 버섯을 이용하여 병을 치유할 수 있다는데 있다. 본초학에서는 버섯을 이용하여 사람의 병을 고치는데 약용으로 이용하여 왔기 때문에 한방에서는 버섯을 많이 쓰고 있다. 균류의 하나인 푸른곰팡이균(Penicillium)에서 페니실린.. 일반 버섯/강원의 버섯 2010.07.27
1-2-1 식용버섯 1) 식용버섯 식용으로 알려진 버섯은 300종이 되며, 그 중에 많이 재배되고 있는 버섯으로는 느타리(Pleurotus ostreatus), 표고(Lentinus edodes), 팽나무버섯(Flammulina velutipes)과 양송이(Agaricus bisporus)가 있는데 이들 버섯은 주로 산과 들에서 자라는 버섯으로 숲에서 나온 버섯을 따서 분리한 균주를 이용하여 인공.. 일반 버섯/강원의 버섯 2010.07.27
1-1-3 공생 버섯균 (3) 공생 버섯균(Mycorrhizal mushroom fungi) 땅속에 사는 버섯균 중에서 식물과 서로 공생관계를 가지는 종류가 많은데 이 버섯을 공생 버섯균(Mycorrizal fungi)이라고 한다. 이 버섯은 서로 독립하여 살아가고 있으며 나무에서 잔디에 이르는 기주 식물의 뿌리와 이로운 관계를 가지면서 살아가고 있다. 균근균의.. 일반 버섯/강원의 버섯 2010.07.26
1-1-2 기생버섯균 2) 기생버섯균(Parasitic mushroom fungi) 나무에 침입하여 병을 일으키는 균류는 기주를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숲을 구성하는 나무의 종류에 따라 많은 피해를 주기도 한다. 기생성 버섯은 기주가 되는 나무에 의지해 살아가고, 버섯균이 자람에 따라 나무는 영양분을 잃어 나중에는 죽게되고 죽은 나무.. 일반 버섯/강원의 버섯 2010.07.24